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스터디

레고랜드 부도 사태 총정리

by 지미토토 2023. 1. 9.
728x90
반응형

 

지금의 부동산 시장은 차갑게 식어버렸습니다.

2023년 정부가 내놓은 부동산 완화 정책이 과연 부동산 시장에 다시 활기를 불러올 수 있을지 지켜봐야합니다.


레고랜드 부도 사태 총정리

오늘은 한동안 기사가 쏟아지고 부동산 PF시장에 한기를 더해준 레고랜드 사태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레고랜드

레고랜드는 강원도 춘천에 위치한 아시아 최대 규모의 테마파크 입니다.

세계에서 두번때로 큰 레고랜드로 대한민국에 처음으로 정식 개장한 프랜차이즈 테마파크입니다.

2015년 개장 예정이었지만 7년이 연기되어 2022년 3월 준공되었고, 2022년 5월 5일 어린이날에 정식으로 개장하였습니다.


레고랜드의 계속된 개장 연기

 

7년이 연기된 이유는 2014년 레고랜드 개발 부지에서 대규모 유적이 발굴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선사시대 유적이 발굴되었는데, 이어서 고구려, 철기 시대의 유적까지 발굴 되었습니다. 이 문제로 7년간 공사가 늦춰지면서 큰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아시다시피 모든 공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공사기간입니다. 공사기간이 늦쳐지면 PF 이자도 늘어나고, 인건비도 상승하고 다양한 비용적인 문제가 발생합니다.

공사가 계속 지지부진하다가 결국 코로나19를 맞이하게 됩니다. 때문에 공사는 더 늦춰지게 되었고 결국 2022년이 되어서야 개장할 수 있었습니다.

 

2010년 강원도가 영국의 멀린 엔터테이먼트와 추진한 레고랜드 유치는 결국 12년이나 지나서야 개장할 수 있었고, 12년의 공사비와 사업비는 부채로 남게 되었습니다.

 

강원도가 출자한 강원중도개발공사가 레고랜드에 다량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었고, 공사의 주체로 참여하게 됩니다.

당초 계획보다 공사기간이 길어졌고, 원래의 공기에서 7년이나 지연되었습니다.공사비가 증가하였곡 결국 강원중도개발공사는 2,050억이 더 필요하게 됩니다. 처음에 강원중도개발공사는 지분을 담보로 자금조달을 시도했지만 실패하게되고

 

결국 강원도가 지급보증을 한 후에야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여기서 문제가 발생한 것입니다.


강원중도개발공사 회생 신청

 

아시다시피 이전 글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PF를 일으킬때 다양한 주체가 대주로 참여하게 되는데, 누구나 생각해볼 수 있다 시피 지자체와 국가가 부도가 나거나 망할일은 거의 없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때문에 채권시장에서는 최고등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강원도가 지급보증을 선다는 것은 돈을 빌려주는 대주입장에서는 너무나 믿음직한 보증인이 생기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생각보다 레고랜드가 큰 성과를 가져오지도 못했고, 강원중도개발공사의 경영 역시 악화되면서 결국 강원도가 2,050억의 부채를 떠안을 위기가 된 것입니다.

강원도지사는 회생 신청을 하게 됩니다.

 

회생신청이란 쉽게 말하면 재정적 어려움을 타파하기 위해 수입을 얻을 가능성이 있을 경우 법률관계를 조정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채무를 이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깨져버린 신뢰

 

그런데 여기서 강원도지사가 강원도와 레고랜드를 분리하는 듯한 말을 하게 되고,

투자자 입장에서는 강원도를 믿고 레고랜드에 돈을 빌려줬는데, 강원도는 보증을 선 부담을 벗어나고자 회생신청을 하게되면서 결국 2,050억원은 최종 부도 처리가 됩니다.

 

레고랜드가 망했다는게 아닙니다. 강원도가 망한 것도 아닙니다.

하지만 PF는 더 쉽게 말하면 '신뢰'입니다.

강원도를 밎고 2,050억의 자금을 조달했지만, 강원도는 아무 책임을 지지 않았다는 것에서 시장에 불안함을 야기하게 됩니다.

 

더이상 지자체도 국가도, 그 누구의 지급보증도 믿을 수 없게 된것입니다.

 

나중에 정부는 유동성 공급을 위해 약 50조원을 투입하고 채무 보중 이행 역시 문제 없을 것을 약속 하면서 2,050억원을 상환할 것을 약속했지만, 시장의 불안은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여기까지가 레고랜드 사태입니다.

 

지급보증, PF대출 모두 신뢰와 책임이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하는데, 그 근간을 흔드는 사건이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